정기강좌


마감[24년 8월 정기 zoom강의] 이경완, "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속 구도의 여정에 동행하기"

[기독인문학아카데미 2024년 8월 강좌]



도스토옙스키의 작품 속 구도의 여정에 동행하기

러시아 문학 속 기독교 진리의 탐색, 시즌 2

 [온라인(ZOOM) 강의]



강 의 소 개

러시아의 근대 기독교 문학은 러시아 정교의 신학적, 철학적 이념과 교회의 사회문화적, 정치적 기능을 고찰하고 인간의 영적, 도덕적, 심리적 측면을 조명하는 데 깊이 천착한 점에서 사회의 정신적 구심 역할을 하였습니다. 그중에서도 레프 톨스토이(1828-1910)와 표도르 도스토옙스키(1821-1881)는 러시아 근대문학뿐 아니라 근대 기독교문학의 두 거봉으로 우뚝 서 있으나, 이들은 기존의 기독교 문화와 근대문화에 서로 다른 방식으로 반응하여 각자의 종교성과 작품세계를 형성하게 됩니다. 톨스토이는 “서사시적(epic) 혹은 도덕적 사실주의” 문학을 형성하면서, 비폭력 무저항 평화주의와 무정부주의를 주장하여 러시아 전제정 및 정교회와 날카로운 대립각을 세운 반면, 도스토옙스키는 “심리적 사실주의”를 형성하면서, 러시아 민중과 대지에 토대를 둔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대지주의(soilism)를 강도높게 주창하여 전제정 및 정교회와 일정 정도의 협력관계를 이루었습니다. 

시즌 2에서는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대지주의를 주창하며 인간의 본성과 근대인의 심리적 특징을 깊이 파헤친 도스토옙스키의 관념 소설 4편과 그의 1인 잡지를 집중적으로 살펴보고자 합니다. 

두 작가에 대한 강의 시리즈를 통해서, 이들이 문학과 종교사상, 삶의 실천을 통해 19세기 말-20세기 초의 총체적 위기 상황에 대해 내린 진단과 해법을 총체적으로 파악하고, 그들의 구도(求道)의 과정이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찾을 수 있기를 바랍니다. 특히 두 작가가 그 과정에서 각자 처한 딜레마와 이들 간의 치열한 논쟁점을 조명하면서 우리의 보다 복잡한 문제들에 대한 기독교 인문학적 논의도 더욱 깊어지고 생산적이 되기를 바랍니다. 에 동행하기



강 사 소 개


담당 : 이 경 완 교수

- 한림대학교 러시아연구소 연구원, 서울대학교 강사

- 서울대학교 노어노문학 박사


주요 논문과 저역서:
대표 논문으로 「성서 해석학의 관점에서 고골의 종교성 고찰」, 「고골, 우크라이나인 그리고/혹은 러시아인?: 성서적 기독교의 관점에서 고골의 민족적 정체성의 양가성에 대한 고찰」 등, 주요 저서로 『성서적인 문화비평: 고골의 기독교 서사시-소설 창작 기획』(2017), 『고골의 종말론의 현대성: 러시아 종교 문예학을 넘어서』(2021), 기타 니콜라이 고골의 작품 다수 번역. 



강 의 일 정 & 교 재


강의일정

1강 도스토옙스키의 삶, 죄와 벌(1866-67)
- 라스콜리니코프의 초인사상, 관념적 살해, 소냐의 고통, 나사로의 부활처럼 라스콜리니코프는 갱생할 것인가?

2강 백치(1868)
- 이 시대의 그리스도의 형상은? 시대의 어둠 속에서 부활은 가능한가?
   요한계시록을 통한 종말론적 시대상 제시 

3강 악령(1871-72)
- 스타브로긴의 차가운 악마성, 그에게 라오디게아 교회가 의미하는 바는?
   돼지 떼에 들어간 악령들과 같은 러시아 인텔리겐치아, 5인조와 이반 왕자,

4강 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(1879-1880)
- 제사, “한 알의 밀알이 땅에 떨어져 죽지 않으면 열매를 맺지 못한다”의 의미 찾기.
   대심문관과 조시마 장로의 대결, 알료샤의 위기와 갱생, 양파 이야기의 양면성

5강 작가의 일기(1873-1880) 카라마조프가의 형제들(1879-1880)
- 작가의 러시아 메시아주의와 대지주의에 따른 시사평론 및 문학평론.
   톨스토이에 대한 작가의 논쟁점. 


* 강의 교재

- 이경완, 『러시아 근대문학의 종말론의 현대성』 (북에너지, 2024, 근간)




일정 & 수강안내


일 정

2024년 8월 1일 ~ 9월 5일 (매주 목요일, 5주 강의) ※ 8/15 공휴일 휴강 

저녁 7:30~9:30 


강의방식

온라인(zoom)강의

(*카카오톡 단톡방을 통해 강의안 및 줌 링크를 전달합니다.)


수강료

일반인 9만원, 후원자-학생-구직자 6만 원


납부계좌

국민은행 437601-01-477910(기독인문학연구원) 


문    의 

02-6925-1526, 010-4501-1365



수강자 혜택


* 강의기간 및 종강 후 일주일까지 동영상 다시보기를 제공합니다.